자바풀스택 과정/자바 풀 스택 : 수업내용정리

자바 풀 스택 4/26 하루 기록 107(멘토링 3차시)(최종프로젝트 23일차)

파티피플지선 2025. 4. 26. 17:44

9:11 학원 도착

 

 

멘토 3회차 : 지난 주에 해왔던 것에 대한 평가 ->보고 판단. DB최종 수정.

 

 

프로젝트 수행에서의 팀워크

 

팀원 :

①업무 수행

- 맡은일 책임지기 : 할당된 업무를 정확히 이해하고 끝까지 책임

- 일정준수 : 주어진 일정 내에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

- 결과물 품질 관리 - 결과물이 팀 전체의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인식 갖기

- 문제인식&보고 : 문제가 생겼을 때 즉시 공유하고 해결책을 함께 고민(선보고 면책>>>후보고 문책)

- 주도적 태도 : 시키는 일만 하는게 아니라 더 나은 방법을 (팀장이 이해하고 납득하고 설득되게) 제안(제안하면 팀장은 관련 인력, 비용을 판단하고 선택한다+의견 수렴을 위한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멘토님 에피소드 : 리눅스에서 rm, kill -q 은 신중하게 써야한다, 와 관련된 +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보고 해야 한다.

요즘은 카프카를 많이 쓴다.

 

② 구성원 간 

- 의견 공유 : 자신의 생각을 팀에 공유하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

- 협력 : 도움이 필요한 팀원이 있으면 도와줄 준비가 되어 있음

- 존중&공감 : 역할과 아이디어에 대한 존중 태도 유지

- 갈등 조정 : 갈등이 발생했을 때 감정적으로 반응하기 보단 해결 중심 접근

- 긍정적 에너지 : 팀 분위기를 밝게 만들고 서로 격려하는 역할 수행

 

팀웍의 악순환 : 불신->소통단절->협력저하->성과하락->책임전가->의욕저하->불신 ...

팀웍의 선순환 : 신뢰형성 -> 소통-> 협력->성과->성취감->동기부여-> 신뢰형성 ...

 

자존심이 높은건 자존감이 낮아서, 자존감이 높으면 자존심이 낮아짐

 

 

성실한 사람 : 믿고 맡길만한 사람

 

 

요구사항 정의서(기능명세서와 유사) : 무엇을 해야하는지(우리는 기능명세서와 같이 했다)에 대한 내용이라 중요하다.

-> 화면 정의서 

-> 소프트웨어 정의서(무슨 소프트웨어를 썼는지 버전과 함께 기재, 우리는 제외시키자고 하심)

-> 아키텍쳐 정의서 : 어떻게 프로그램을 구성시킬건지(우리 프로젝트 수준에선 고객, 프론트, 백, DB)(2중화 같은게 보일 수 있음)

SSO singlesign(계열사까지 로그인)

-> 테이블 정의서

->접속 정보(우린pass->)

->API 정의서 : 프론트의 산출물이 화면정의서라면 백엔드의 산출물은 API 정의서가 됨(Description, Request Header, Request Body, Request Sample JSON, Response form(key, type, description), response sample JSON

->테스트 결과서(시험 항목(대분류), 시험항목(중분류), 시험목적, 시험절차, 시험결과내역, 시험결과 등)

 

 

DB에 칼럼 주석을 달아주라고 하심.

궁금해서 DB에 주석 다는 방법 지피티한테 물어봤는데 SQL 해봐야겠다.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DB의 주석 다는 법+ 오라클 외 DB 에 대하여 (+가죽공예사이트 이름 아이디어 ㅋㅋ)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DB의 주석 다는 법+ 오라클 외 DB 에 대하여 (+가죽공예사이트 이름 아이디어

오라클 DB에서 각 칼럼에 대한 주석을 테이블 생성하면서 같이 쓸 수 있어? 오라클 DB에서는 테이블 생성(CREATE TABLE)과 동시에 칼럼 주석(COMMENT)을 직접 지정하는 문법은 제공하지 않습니다.즉, 테

partypeoplejs.tistory.com

 

 

 

공용으로 사용할 DB 아이디/비번 : test22/test22 이라고 함

 

 

 

 

각자 개발 시작 

 

어제 헤매던거 mapper.xml의 경로 때문인거 알앗따!!!!! 이제 tabbed Postmand에서도 요청하면 응답이 온다! ㅎㅎ

 

 

 

오늘 더미데이터 UI 만든거

 

 

 

백엔드에서 데이터가 가져와진건 보이는데 왜 데이터가 뿌려지질 않았을까...는 b_code 값과 관련 있나.

챗지피티한테 더미 데이터 만들어달래서 삽입했던 값들인데... 흠...

프론트엔드에서 b_code를 변환시켜줘야 해서 그러나.. 흠..

 

 

 

는.... 아 ㅋㅋㅋㅋㅋ 바보같이 중괄호 아니라 () 썼어야 하는데 { } 써가지고ㅋㅋㅋ큐ㅠㅠㅠ 댕청댕청

 

 

근데 이제 구분 구분상세가 한글로 뜰 수 있게 변환해주는 단계가 필요한데, 프론트에서 처리할 수 있으려나.

프론트에서 변환해주는 방법 GPT한테 물어봐서 알아냈는데 독특한 비례식 사용법을 알게 된것 같다.

왼쪽:오른쪽을 이렇게 설정할거다 라고 정의해놓고 b_code를 B_CODE_MAP의 키값에 해당하는 것을 대응시키겠다는 의미로 보임.

 

 

그래서 해결!! 야호!!

 

근데 이제야 등록일자에 시간까지 찍히는게 보여서 ㅋㅋㅋㅋㅋ 그래서 시간 없애주려고 쿼리문 고치러 감!

아래처럼 작성해놨어서 위에 처럼 시간까지 찍히는거고 더미데이터여서 00시00분00초로 찍힌거.

	<select id="getAdminSales" resultType="AdminSalesDto">
	  SELECT *
	  FROM tb_admin_sale
	  ORDER BY cre_date DESC
	</select>

 

아래 코드로 바꿨고 날짜도 날짜 형식으로만 뜬다 야호!

	<select id="getAdminSales" resultType="AdminSalesDto">
	  SELECT admin_sale_id, store_name, TO_CHAR(cre_date, 'YYYY-MM-DD') AS cre_date, TO_CHAR(edit_date, 'YYYY-MM-DD') AS edit_date, sale_name, price, a_code, b_code, auto
	  FROM tb_admin_sale
	  ORDER BY cre_date DESC
	</select>

 

 

이제 매출 추가,수정,삭제 먼저 해봐야지.

체크박스 체크했을 때 검색은 주말에도 계속 시도해보고 월요일날 마무리하자.

 

이제 모달 설정 마저 하러 가야지.

 

모달 설정하려다가 구분 드롭다운 선택하면 관련 드롭다운만 뜨는게 좋을거 같아서 일단 내멋대로 수정해봄.

매출추가는 아직 API도 프론트쪽 메소드도 만들지 않아서 오류남 ㅎ

 

 

나머지는 노트북에서 작업하다가 마무리 하고 내일 또 붙잡고 한 번 이것저것 시도해봐야겠다. 잘하고 있어 힘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