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티티를 dto로 바꿔서 사용해줘야 하는 이유는 웹브라우저가 엔티티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바로 읽어들일 수 없기 때문인거지?
ChatGPT의 말:
네, 맞습니다. 엔티티를 DTO(Data Transfer Object)로 변환해서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하나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엔티티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것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보안 문제: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민감한 데이터나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나 내부 구현 세부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에 직접 엔티티를 전달하면 이러한 정보들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유연성: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와 일치하는 구조로 설계되지만, 클라이언트에 전달할 데이터는 반드시 모든 필드를 포함할 필요가 없습니다. DTO는 필요한 데이터만을 포함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유연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성능: 엔티티에는 관계가 있는 다른 엔티티나 컬렉션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User 엔티티가 여러 개의 Order 엔티티와 관계를 맺고 있을 경우, 모든 주문 데이터를 포함한 상태로 엔티티를 전달하면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클라이언트로 전송될 수 있습니다. DTO를 사용하면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 계층 간 의존성 분리: 엔티티는 보통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담당하는 영역에 속하고, DTO는 주로 클라이언트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객체입니다. 엔티티와 DTO를 분리하면 시스템의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변경 사항이 다른 계층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엔티티를 DTO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은 보안, 성능, 유연성, 계층 간 의존성 분리 등을 고려한 좋은 설계 방식입니다.
'자바풀스택 과정 > 챗지피티 선생님 in 자바풀스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createBrowserRouter와 createHashRouter의 같은점과 다른점 (0) | 2025.03.07 |
---|---|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Entity 사용과 데이터베이스 사용의 차이(장단점) (0) | 2025.03.04 |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JPA in JAVA (0) | 2025.02.28 |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이클립스 개발 환경과 리액트 개발 환경 유사점 및 차이점 (0) | 2025.02.26 |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TldScanner scanJars 정보 (0) | 2025.02.10 |